본문 바로가기

업데이트

v1.6.0 업데이트

다음 세 가지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 버튼 숨기기 (v1.5.0)
  • 팝업 안내 윈도우 고정하기
  • 측정소별 공지사항과 측정망 구분 보기


버튼 숨기기

미세빅으로 여기 저기 지도 위의 측정소를 보시다가, 화면을 캡춰하려고 할 때 측정소들이 좌우측의 버튼들에 가려서 불편하셨을 것입니다.


지도에서 측정소 마커가 없는 곳을 가볍게 터치(또는 탭)해보세요. 그러면 좌우측의 버튼들이 사라져서 시원하게 지도 위의 수치를 보시고 캡춰하실 수 있습니다.



다시 지도를 가볍게 터치(또는 탭)하시면 좌우측에 버튼들이 나타나서, 다른 오염원을 선택하시거나 검색 등을 하실 수 있습니다.


팝업 안내 윈도우 고정하기

좌측 상단의 오염원 버튼을 누르면 하단에서 팝업 안내 윈도우가 4초 정도 나타났다가 사라집니다. 이 안내가 계속 보였으면 하시는 분들을 위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오염원 버튼을 누르고 팝업 윈도우가 나타나면, 오염원 이름 왼쪽에 있는 동그라미를 터치하세요. 그러면, 안내 윈도우가 고정됩니다. 


다시 안내 윈도우를 사라지게 하시려면, 오염원 이름 왼쪽의 동그라미를 터치하세요. 그러면, 안내 윈도우가 아래로 내려가고, 이후부터는 오염원 버튼을 눌렀을 때에만 4초간 나타났다 사라집니다.


팝업 안내 윈도우를 고정하면 이 윈도우가 하단 광고 영역 위로 이동합니다.


측정소 공지사항

측정소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점검하느라 수치가 나오지 않을 경우가 있습니다. 에어코리아는 매일 한국 측정소들의 공지사항을 알려줍니다. 

공지사항이 있는 측정소의 경우 측정소 스크린의 상단에 공지사항이 나타납니다.




측정망 구분

우리 나라 측정소들은 측정소의 측정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4 가지 측정망 중 하나에 속합니다. 

  • 도시대기
  • 도로변대기
  • 교외대기
  • 국가배경망


인근 측정소들의 측정망 구분에 대해 이해하시면 주변 수치들을 보고 판단하시는데 조금 더 도움이 되기 때문에, 측정소 스크린 상단에서 측정망 구분을 표시하였습니다. 




그런데, 이런 구분을 항상 외우고 있는 것은 너무 어렵죠. 그래서, 주소/측정망 구분 항목(아래 그림의 왼쪽)을 터치하시면 해당 측정망 구분에 대한 설명(아래 그림의 오른쪽)을 보실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4가지 측정망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시대기는 도심과 거주지역의 대기질을 반영하는 측정소들입니다. 대한민국 측정소들의 대부분은 도시대기 측정망에 속합니다. 

도시대기 측정소는 어떻게 생겼을까요? 아래는 도시대기 측정소의 하나인 경기도 성남시 "운중동" 측정소의 모습입니다. 건물 옥상에 오두막집이 있고, 비싼 측정장비들은 오두막집 안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오두막집의 지붕 위로 공기를 흡입하고 온습도 풍향 풍속을 측정하기 위한 긴 관들이 여러 개 나와 있습니다. 운중동 측정소는 주거지역 내의 운중동 주민센터 옥상(5층에 해당)에 있습니다.



도로변대기는 고속도로나 고속화도로 처럼 차량 통행이 많은 곳의 대기질을 반영하는 측정소들입니다. 따라서, 도시대기 측정소와는 다른 패턴을 보이기도 하므로 도로변대기 측정소가 제일 가깝더라도 약간 더 먼 도시대기 측정소 수치를 보시는 것이 나을 수도 있습니다.

도로변대기 측정소는 어떻게 생겼을까요? 다음은 경부고속도로 판교 톨게이트 근처에 있는 "대왕판교로(백현동)" 측정소입니다. 경부고속도로와 불과 2미터 정도 떨어진 곳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교외대기는 도시 주변 교외 지역의 "배경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소입니다. 아래와 같은 위치에 교외대기 측정소들이 있습니다. 


국가배경농도는 국내에서 발생하는 요인을 제외했을 경우의 농도인 "배경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소입니다. 백령도, 울릉도, 제주도 서쪽 고산, 이렇게 세 곳만 있습니다. 



그런데, 배경농도가 무엇일까요?

배경농도는 Background concentration 의 약자로써 대상 지역에서 발생하는 인위적인 오염원(미세먼지, 이산화질소 등)이 없을 때의 농도입니다. 대상 지역은 시,도, 또는 국가가 될 수 있습니다. 


언듯 잘 이해가 안되시죠? ^^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서울시 배경농도는, 서울시 안에서 발생하는 인위적인 오염원이 전혀 없을 경우에 미세먼지나 이산화질소 등의 농도입니다. 즉, 서울시 배경농도는 서울시 자체의 노력으로 얼마나 오염원들의 농도를 낮출 수 있는지 나타냅니다. 


대한민국 배경농도는 국내에서 발생하는 인위적인 오염원이 전혀 없을 경우에 미세먼지나 이산화질소 등의 농도입니다. 즉, 해외(주로 중국이겠죠)부터 넘어오는 오염원들의 농도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