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빅에 제법 큰 변화가 있어서 버전이 1.7.0 에서 2.0.0으로 껑충 올라갔습니다. ^^
이번에 개선된 것은 크게 2 가지입니다.
1. 인근 브리핑
2. 마커의 시인성(visibility) 개선
인근 브리핑
미세빅을 시작한 계기 중에 하나는 가장 가까운 측정소 하나만 봐서는 미세먼지나 다른 오염원의 현황(예를 들면, 오존)을 제대로 알기 어렵다는 것이었습니다. 나와 가장 가까운 측정소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괜찮더라도 조금 더 먼 여러 측정소들은 나쁨일 수도 있고, 가장 가까운 측정소 하나가 매우 높더라도 조금 더 먼 여러 측정소들은 빠르게 초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지는 추세일 수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미세빅은 인근의 여러 측정소를 보여주는데 그쳐서 일일이 초미세, 미세, 오존 등의 오염원 버튼을 눌러보고 각 측정소 마커를 클릭하여 측정소별 추세를 확인해야 해서 불편하였습니다.
인근 브리핑은
- 거리가 가까운 인근 5~10개 정도의 측정소를 찾습니다.
- 각 측정소의 대기질(Air Quality Level)을 알려줍니다.
- 가장 나쁜 3개 오염원 중에 어떤 것이 더 해로운지 아실 수 있도록 미세빅의 6단계 AQI 레벨에 깃발로 보여줍니다.
- 어떤 측정소가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멀리 있는지도 알 수 있게 해줍니다.
지도에서 어디든 길게 2초 이상 누르시면 브리핑이 시작됩니다.
측정소들은 데크(Deck)에 표시되며, 거리가 가까운 것부터 보여줍니다.
좌우로 스와이핑하여 다른 측정소를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로 스와이핑하면 브리핑이 종료되고 기존의 지도로 돌아갑니다.
측정소의 상세한 추세가 궁금하시면 측정소 이름 오른쪽 부분을 터치하세요. 마커를 터치하셔도 됩니다.
그러면, 그동안 보셨던 측정소 상세 화면이 나타납니다.
브리핑 모드가 종료되면 아래와 같이 버튼이 다시 보이고, 위치 마커와 인근의 범위를 보여주는 반투명한 원이 계속 보입니다. 마커를 터치하시면 마커와 반투명 원이 사라집니다.
마커의 시인성(visibility) 개선
줌인 하면 커지는 마커의 숫자
어르신들이나 40대 이상의 노안이 온 분들은 지도 위의 작은 숫자를 확대할 수 없어서 불편하셨을 것입니다. 그래서, 지도를 줌인함에 따라 마커의 숫자를 점점 더 커지게 하였습니다.
마커의 모양 개선
마커의 꼬리를 좀 더 길게, 그리고 사각형의 모서리를 약간 더 둥글게 하여 마커가 더 눈에 잘 들어오도록 하였습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개시된 미세빅 영상입니다 ^^
'업데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세빅에서 몇주, 몇달 전 미세먼지/대기질 보기 (0) | 2019.07.13 |
---|---|
미세빅 v3.4.0 업데이트 소식: 한국과 미국 대기질 기준 지원 (0) | 2019.06.19 |
v1.7.0 업데이트 이야기 (0) | 2018.05.05 |
v1.6.0 업데이트 (2) | 2018.04.18 |
중국 산둥성 지방의 측정소들 999 수치는 오류 (0) | 2018.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