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이번 업데이트에 적용된 것은 다음 세 가지입니다.
1. 위치 기반 줌 레벨
2. 그래프의 시간 축이 발표 시간이 아닌 측정 시간이라는 안내 추가
3. 빨강색과 감색이 잘 구분되도록 6단계 색상의 톤 조정
위치 기반 줌 레벨?
이게 뭔가 하실겁니다 ^^ 위치에 따라 인근의 줌 레벨이 달라집니다.
계신 곳의 위치에 따라 수 km 내에 측정소가 아주 많은 지역도 있고, 아래와 같이 강원도 평창 어느 지역에서는 몇십 km 떨어진 곳에 측정소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평창에 사시는 분이 "인근"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아무런 측정소가 보이지 않아 불편하셨을 것입니다.
위치 기반 줌 레벨 기능으로 이제는 아래와 같이 가장 가까운 5개의 측정소를 보는데 적합한 줌 레벨를 찾아서 보여줍니다. 스마트폰 화면에는 가장 가까운 5개 측정소 이외의 측정소도 더 보입니다.
무주의 덕유산에 계신 분도 기존에는 아래와 같이 인근 버튼 눌렀을 때 아무런 측정소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제는 5개 이상의 측정소가 보여서 인근 추세를 조금 더 편리하게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이전에 아산이나 이천 근처에 사시는 분도 측정소가 안보이거나 1~2개 밖에 안보였겠으나 이제 적절한 개수의 측정소를 보실 수 있도록 줌아웃 합니다.
반대로 근처에 많은 측정소가 있는 도심 지역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기존보다 좀 더 줌인하게 됩니다.
서울 시내에서 인근은 아래처럼 많은 측정소들이 보였습니다.
이제 인근 5개 측정소를 보기에 적합하도록 훨씬 더 줌인 합니다.
부산의 경우 아래와 같이 여러 측정소가 보였으나 이제는 가장 가까운 5개 측정소를 더 잘 볼 수 있도록 기존보다 더 줌인 합니다.
그런데, 울릉도의 경우 가장 가까운 측정소 5개를 찾게 되면 강원도 삼척과 강릉의 측정소까지 포함되는데요. 위경도 차이가 1보다 큰 곳까지는 가까운 측정소를 찾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그래서 울릉도의 경우 인근 버튼을 터치하시면 하나의 측정소만 보이게 됩니다.
미세빅은 측정 시간을 보여줍니다
미세빅은 수치를 발표한 시간이 아니라 측정한 시간대를 보여줍니다. 그것이 더 실제이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포털이나 앱들이 발표시간으로 보여주고 있어서 미세빅의 수치 업데이트 시간이 늦은 것 처럼 보일 수 있으나, 측정 시간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예를 들면, 14시에 발표된 수치는 13시0분부터 13시59분까지 측정한 수치의 평균이므로, 아래 그래프의 시간 축에서는 13시에 측정한 것으로 표시합니다.
이 것은 V1.2.1부터 적용된 것인데, 안내가 부족하여 혼선을 드린 것 같아, 위와 같이 PM2.5 그래프 바로 아래(노란 형광펜 칠한 부분) 간단히 안내를 추가하였습니다.
'업데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산둥성 지방의 측정소들 999 수치는 오류 (0) | 2018.03.30 |
---|---|
미세빅 v1.4.0 업데이트 이야기 (장소 검색이 가능해요) (0) | 2018.03.26 |
6단계로 개편 등 업데이트 내용 (v1.2.1) (0) | 2018.02.08 |
이제 모든 오염원을 지원합니다 (0) | 2018.01.21 |
미세빅 v1.1.9 (0) | 2018.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