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분들이 중국의 미세먼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AQICN 사이트(aqicn.org)를 보십니다. 그런데, 2월부터 산둥성 지방(아래 사진에서 빨간 원 그린 지역)의 측정소들이 2달 째 999로 나오고 있어서 걱정과 우려, 때론 분노를 하고 있습니다. 산둥성 지방은 중국의 공장들을 집중적으로 이전한 곳으로 추정되고 있기도 하여, 우리 나라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의심되는 곳이어서 더욱 그렇습니다.
※ 주의: AQICN 에서 보는 수치는 US AQI로 환산된 수치입니다. 농도가 아닙니다.
(농도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TT)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999 AQI 수치는 오류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무시하시는게 좋겠습니다.
그래서, 미세빅의 지도에서는 잘못된 산둥성 지방의 측정소들을 일단 회색으로 보여주도록 하였습니다.
산둥성 지방의 측정소를 터치하시면, 아래와 같이 PM2.5, PM10 등의 수치가 나오기는 하지만, 2달 동안 전혀 변함없이 최고 수치로만 나타나고 있습니다. (AQICN에서 AQI로 표시한 것을 미세빅에서는 농도로 변환해서 보여주기 때문에 PM2.5/PM10의 수치가 다릅니다)
그렇다면 산둥성의 제대로 된 수치는 어디서?
중국 환경부 산하의 중국국립환경모니터링센터 사이트에서 산둥성 지방의 초미세먼지와 미세먼지 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국국립환경모니터링센터는 한국의 국립환경과학원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이는 기관으로써 중국의 수질, 대기, 황사 등 11개 분야 모니터링 업무를 수행한다고 합니다.
접속 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크롬 브라우저에서 영어나 한글로 번역해서 보시면 좀 편하실 겁니다.)
약간 브라우저를 아래로 내리면 왼쪽 부분에 중국의 각 도시의 수치를 AQI로 알려주는 부분이 나옵니다. 여기서 빨간 펜 칠한 링크를 클릭합니다.
여기서부터는 Sliverlight 라는 것을 반드시 컴퓨터에 설치해야만 아래와 같은 모양의 사이트를 볼 수 있습니다. 기본 화면에서는 중국 전체 각 도시의 하루 AQI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컴퓨터와 브라우저에 따라 잘 안보이는 경우도 많을 것 같습니다)
매시간 각 측정소마다 발표되는 수치를 알려면 아래와 같이 두번째 탭을 선택한 후 하단의 "PM2.5" 탭을 선택합니다.
산둥성 지방을 확대하여 측정소들을 보면 초록색, 노랑색, 주황색입니다. 가장 나쁜 등급인 갈색 측정소는 없죠.
PM10을 선택하여 미세먼지 현황도 볼 수 있습니다.
지도를 더 확대하면 측정소 마커들의 모양이 바뀝니다. 마우스를 마커 위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하면 해당 측정소의 PM2.5 1시간 평균과 24시간 평균을 알려줍니다. 67 μg/m3 이군요. AQI 999가 아닙니다.
마커를 클릭하면 지도 아래쪽에 해당 측정소의 시간에 따른 그래프도 볼 수 있습니다.
산둥성을 좀 더 편하게 보려면
한자도 익숙하지 않고 느려서 중국국립환경모니터링센터에서 중국의 대기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무척 불편합니다.
미세빅이 조만간 AQICN으로부터 중국 데이터를 받아오지 않고 중국국립환경모니터링센터 같은 곳에서 직접 받아오도록 하겠습니다만, 그 전에 산둥성 지역이 궁금하시다면, AirVisual 을 이용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AirVisual은 중국국립환경모니터링센터에서 데이터를 받아서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 주의: AirVisual을 보실 때에 유의할 점은, 아래 보이는 수치는 대표 AQI 지수라는 점입니다.
PM2.5나 PM10의 AQI 지수가 아니라 가장 AQI 지수가 높은 오염원의 AQI 지수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NO2의 AQI가 100 이고, PM2.5는 30, PM10이 50 이라면, 해당 측정소의 대표 AQI 지수는 100이 되고, 대표 오염원은 NO2가 됩니다.
AirVisual에서 농도를 보시려면 측정소를 클릭하고 스크롤다운하면 아래와 같은 내용이 나타납니다. PM2.5와 PM10의 농도를 μg/m3 단위로 보여줍니다.
※ 주의: O3, SO2, NO2, CO의 단위가 우리 나라에서 사용하는 ppm 이 아닙니다.
ppm과 μg/m3은 오염원의 종류에 따라 수치에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미세빅은 단위가 다른 것 때문에 무척 오해도 많고 햇갈리기 때문에 모두 한국에서 표준으로 사용하는 단위로 일원화해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업데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v1.7.0 업데이트 이야기 (0) | 2018.05.05 |
---|---|
v1.6.0 업데이트 (2) | 2018.04.18 |
미세빅 v1.4.0 업데이트 이야기 (장소 검색이 가능해요) (0) | 2018.03.26 |
미세빅 v.1.3.0 업데이트 이야기 (위치 기반 줌레벨?) (0) | 2018.03.07 |
6단계로 개편 등 업데이트 내용 (v1.2.1) (0) | 2018.02.08 |